굵은 침이나 삼능침,바늘 등으로 인체의 특정부위를 꼭 찔러 피를 짜내서 병을 치료하는 것이 점자치료법이다. 혹은 자락(刺絡)요법, 자혈(自血)요법이라고도 한다. 이처럼 꼭 찔러서 피를 짜내는 것은 아주 먼 옛날부터 전해지고 있다.
점자치료는 침자치료의 기초자법으로 구급요법에 많이 쓰인다. 따라서 급체, 어린이경기(소아경기), 뇌졸증전구증, 인사불성, 졸도, 일사병 등에 매우 높은 치효가 있다.
점자출혈에 쓰이는 침은 삼능침(三稜針)인데 속칭 입침이라고도 한다.
|

|
삼능침의 대용으로는 바늘,귀개,주사바늘,옷핀,굵은침, 사무용핀,유리,사기조각등이 있다. 개발된 삼능침으로는 무통삼능침과 스프링삼능침이 있다.점자출혈을 많이 하는 부분은 손가락끝, 발가락끝, 귀끝등이다. 손가락끝은 십지단(十指端), 발가락끝은 십기단(十趾端), 귀끝은 이첨, 혀끝은 설첨,코끝은 비첨, 머리끝은 두첨이라 부른다.
|
◆급체(먹을 것이 체했을 때)의 구급
◎ 사용되는 침 - 무통삼능침 ◎ 점자부위: 양손 엄지손톱 모퉁이 부위, 발가락 발톱 모퉁이 부위 ----> 소상(小商), 은백(隱白) |

|

| |
◆뇌졸증,쇼크,인사불성,혼미
◎ 사용되는 침 - 무통삼능침 ◎ 점자부위 : 열손가락끝(십선), 양쪽 귀끝(이첨), 열발가락끝(기단) |
| |
◆감기(유행성,급작스런 고열감기)
◎ 사용되는 침 - 무통삼능침 ◎ 점자부위 : 삼상(노상,중상,소상), 양쪽 귀끝(이첨), 둘째 손톱모퉁이(상양(上陽)) |
|
|
| |
◆소아경기(고열과 헛소리)
◎ 사용되는 침 - 무통삼능침 ◎ 점자부위: 십선, 수십이정혈(手十二井血), 풍관(風關), 연구(燕口), 전후은주, 인당(印堂) |

|

|

|

|

| |
◆소아설사,음식을 안먹을 때

|
◎ 사용되는 침 - 무통삼능침 ◎ 점자부위 : 사봉(四縫)
| |
◆소아고열, 자지 않고 보챌때
◎ 사용되는 침 - 무통삼능침 ◎ 점자부위 : 상양(商陽), 소상(少商), 소택, 이첨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