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배우기
1) 기본 인사말
인사 구분 |
일본어 읽기 |
일본어 쓰기 |
1. 감사합니다. |
아리가또-고자이마스 |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
2. 건강하십니까? |
오겡끼데스까 |
おげんきですか。 |
3. 괜찮습니까? |
다이죠부데스까 |
だいじょうぶです。 |
4. 깜짝 놀랐습니다. |
빗꾸리시마시다 |
びっくりしました。 |
5. 내일은 몇 일입니까? |
아시다 난니찌 데스까 |
あしたなんにちですか。 |
6. 다녀 왔습니다. |
타다이마 |
ただいま。 |
7. 다녀 왔어요?(6.응답) |
오카에리나사이 |
おかえりなさい。 |
8. 다녀 오겠습니다. |
잇떼 키마스 |
いってきます。 |
9. 다녀 오세요!(8.응답) |
잇떼 랏샤이 |
いってらっしゃい。 |
10. 만나서 반갑습니다. |
오 아이데끼데 우레시이데스 |
おあいできてうれしいです。 |
11. 몇 학년입니까? |
난 넨세이데스까 |
なんねんせいですか。 |
12. 무엇을 하고 계십니까? |
나니오 시떼 이마스까 |
なにをしてますか。 |
13. 미안합니다. |
스미마센 |
すみません。 |
14. 별 말씀을- |
도-이다시마시떼 |
どういたしまして。 |
15. 부탁합니다. |
오네가이시마스 |
おねがいします。 |
16. 서울은 처음입니까? |
서우루와 하지메데데스까 |
ソウルははじめてですか。 |
17. 수고하셨습니다. |
오쯔카레 사마데시다 |
おつかれさまでした。 |
18. 실례합니다. |
시쯔레이시마스 |
しつれいします。 |
19. 안녕하십니까?(아침) |
오하요-고자이마스 |
おはようございます。 |
20. 안녕하십니까?(점심) |
곤니찌와 |
こんにちは。 |
21. 안녕하십니까/(저녁) |
곤방와 |
こんばんは。 |
22. 안녕히 가십시오. |
사요-나라 |
さようなら。 |
23. 안녕히 주무세요. |
오야스미나사이 |
おやすみなさい。 |
24. 어디를 가십니까? |
도꼬에 이끼마스까 |
どこへいきますか。 |
25. 어서오십시오. |
이랏샤이마세 |
いらっしゃいませ。 |
26. 얼마 입니까? |
이꾸라데스까 |
いくらですか。 |
27. 예, 알겠습니다. |
하이, 와까리마시타 |
はい、わかりました。 |
28. 오늘은 무슨요일입니까? |
쿄우와 난요비데스까 |
きょうなんようびですか。 |
29. 오늘은 몇 일입니까? |
쿄우와 난니찌데스까 |
きょうなんにちですか。 |
30. 오래간만이군요! |
오히사시부리데슨네 |
おひさしぶりですね。 |
31. 이것은 무엇입니까? |
고레와 난데스까 |
これはなんですか。 |
32. 잘 먹겠습니다. |
이따다끼마스 |
いただきます。 |
33. 잘 먹었습니다. |
고치소-사마데시다 |
ごちそうさまでした。 |
34. 잘 부탁합니다. |
요로시꾸 오네가이시마스 |
よろしくおねがいします。 |
35. 죄송합니다. |
고멘나사이 |
ごめんなさい。 |
36. 지금 몇시입니까? |
이마 난지데스까 |
いまなんじですか。 |
37. 저는 진수정입니다. |
와다시와 진수정 또 모-시마스 |
わたしは진수정ともうします。 |
38. 이쪽은 권우경입니다. |
고레와 권우경데스 |
こちらは 권우경です。 |
39. 축하합니다. |
오메데또-고자이마스 |
おめでとうございます。 |
2) 대답하기
(1) 예 はい。 (하이)
(2) 아니오 いいえ。 (이-에)
(3) 그렇습니다. そうです。 (소-데스)
(4) 그렇지 않습니다. そうじゃありません。 (소-쟈 아리마센)
(5) 알겠습니다. わかりました。 (와까리마시따)
(6) 모르겠습니다. わかりません。 (와까리마센)
(7) 안됩니다. だめです。 (다메데스)
3) 인사 (あいさつ)
(1) 안녕!(친구나 아랫 사람에게) おはよう。 (오하요-)
(2) 안녕하십니까?(아침) おはようございます。 (오하요-고자이마스)
(3) 안녕하십니까?(낮) こんにちは。 (곤니찌와)
(4) 안녕하십니까?(밤) こんばんは。 (곤방와)
(5) 안녕히 가세요(계세요,헤어질때) さようなら。 (사요-나라)
(6) 처음 뵙겠습니다. はじめまして。 (하지메마시떼)
(7) 잘 부탁드립니다. よろしくおねがいします。 (요로시꾸 오네가이시마스)
(8) 잘 부탁드립니다. どうぞよろしくおねがいします。(도-죠 요로시꾸 오네가이시마스)
4) 감사표현
(1) 고마워. ありがとう。 (아리가또-)
(2) 감사합니다.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아리가또-고자이마스)
(3) 대단히 감사합니다. どうも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도-모 아리가또-고자이마스))
(4) 여러가지로 감사합니다. いろいろと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이로이로또 아리가또-고자이마스)
(5) 고맙습니다. どうも。 (도-모) 친한 사이 일반적 표현
(6) 신세를 졌습니다. おせわになりました。 (오세와니 나리마시따)
(7) 천만에요. どういたしまして。 (도-이따시마시떼)
5) 부탁·사과의 표현
(1) 실례합니다. すみません。 (스미마센)
(2) 부탁이 있습니다. お願いがあります。 (오네가이가 아리마스)
(3) 잠깐 기다려 주세요. ちょっと待ってください? (좃또 맛떼 구다사이)
(4) 잠시 기다려 주십시오. ちょっとお待ちください。 (좃또 오맛찌 구다사이)
(5) 한번 더 말해 주세요. もう一度いってください。(모우 이찌도 잇떼 구다사이)
(6) 좀더 천천히 말해 주세요. もっとゆっくりはなしてください。(못또 윳꾸리 하나시떼 구다사이)
(7) 조심하세요. 氣をつけてください。 (기오 쯔께떼 구다사이)
(8) 여기에 써 주세요. ここに書いてください。 (고꼬니 가이떼 구다사이)
(9) 미안합니다. 실례합니다. すみません。 (스미마센)
(10) 죄송합니다.(구체적으로 잘못한 경우) ごめんなさい。 (고멘나사이)
(11) 서둘러 주십시오. いそいでください。 (이소이데 구다사이)
6) 질문
(1) 이것은 무엇입니까? これは何ですか? (고레와 난데스까)
(2) 이것은 얼본어로 뭐라고 합니까? これはにほんごで何といいますか。 (고레와 니혼고데 난또 이-마스까)
(3) 화장실은 어디입니까? トイレはどこですか。 (도레이와 도꼬데스까)
(4) 언제갑니까? いつ行きますか。 (이쯔 이끼마스까)
(5) 저분은 누구입니까? あのかたはだれですか。 (아노 가따와 다레데스까)
(6) 지금 몇시입니까? いまなんじですか。 (이마 난지데스까)
(7) 얼마나 걸립니까? どのくらいかかりますか。 (도노 구라이 가까리마스까)
(8) 어떻게 하면 됩니까? どうすればいいですか。 (도- 스레바 이이데스까)
(9) 몇 살입니까? なんさいですか。 (난사이데스까)
(10) 몇 개입니까? いくつですか。 (이꾸쯔데스까)
(11) 무슨 뜻입니까? なんの意味ですか。 (난노 이미데스까)
(12) 어느 쪽입니까? どちらですか。 (도찌라데스까)
(13) 왜 그렇습니까? なぜですか。 (니제데스까)
(14) 어느 쪽을 좋아합니까? どちらがすきですか。 (도찌라가 스끼데스까)
7) 물건 구입시
(1) 얼마입니까? いくらですか。 (이꾸라데스까)
(2) 이것은 얼마입니까? これはいくらですか。 (고레와 이꾸라데스까)
(3) 전부 얼마입니까? 全部でいくらですか。 (젠부데 이꾸라데스까)
(4) 이것을 주십시오. これをください。 (고레오 구다사이)
(5) 만져봐도 괜찮습니까? 手にとってもいいですか。 (데니 돗데모 이-데스까)
(6) 더 싼 것이 있습니까? もっと安いのがありますか。 (못또 야스이노가 아리마스까)
(7) ~을 사고 싶습니다. ~を買いたい。 (~오 가이 다이)
8) 호텔 객실에서
(1) 들어오십시오. おはいりなさい。 (오하이리나사이)
(2) 비누(수건)가 없습니다. 石けん(タオル)がない。 (섹켄(타오루)가 나이)
(3) 텔레비젼이 켜지지 않습니다. テレビがつかない。 (테레비가 쯔가나이)
(4) 화장실 물이 내려 가지 않습니다. トイレの水が流れない。
(도이레노 미즈가 나가레나이)
10) 사진찍기
(1) 미안하지만 셔터 좀 눌러 주십시오. (스미마셍가 셔터-오 오시데 구다사이)
(2) 나와 함께 찍을까요? (와다시또 잇쇼니 도리마쇼-까)
(3) 사진을 보내 드리겠습니다. (샤싱오 오꿋데 아게마스)
11) 가정에서
(1) 건강 : 괜찮습니다. だいじょうぶです。 (다이죠-부데스)
(2) 건강 : 머리가 아픕니다. あたまがいたいです。 (아다마가 이따이데스)
(3) 목욕 : 목욕이 끝났습니다. おわりました。 (오와리마시타)
(4) 목욕 : 참 좋았습니다. いいおゆかげんでした。 (이이 오유카셍데시다)
(5) 부탁하기 : 물 한 잔 부탁합니다. おみずおねがいします。 (오미즈 오네가이시마스)
(6) 부탁하기 : 화장실이 어느쪽입니까? トイレはどこですか。 (도이레와 도꼬데스까)
(7) 선물줄때 : 약소한 선물입니다. ほんのきもちだけのおくりものです。 (혼노 기모찌 다케노 오꾸리모노데스)
(8) 식사예절 : 이제 충분합니다. もうたくさんです。 (모- 닥상데스)
(9) 식사예절 : 잘 먹겠습니다. いただきます。 (이다다끼마스)
(10) 식사예절 : 잘 먹었습니다. ごちそうさまでした。 (고찌소우사마데이다)
(11) 외출갈때 : 다녀오겠습니다. いってまいります。 (잇떼 마이리마스)
(12) 외출귀가 : 다녀왔습니다. ただいま。 (타다이마)
(13) 인사하기 :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아리가또- 고자이마스)
(14) 인사하기 : 나의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私の名前は です。 (와다시노 나마에와 홍길동데스)
(15) 인사하기 : 신세를 지게 되었습니다. おせわになります。 (오세와니 나리마스)
(16) 인사하기 : 잘 부탁드립니다. よろしくおねがいします。 (요로시꾸 오네가이시마스)
(17) 인사하기 : 처음 뵙겠습니다. はじめまして。 (하지메마시때)
(18) 인사하기 : 한국에서 온 홍길동입니다 かんこくからきた です。 (강꼬꾸까라 끼따 홍길동데스)
(19) 취침할때 : 안녕히 주무십시오.(어른에게) おやすみなさい。 (오야스미나사이)
(20) 취침할때 : 잘자!(친구에게) おやすみ。 (오야스미)
-
:::::::::::::::::::::::::::::::::::::::::::::::::::::::::::::::::::::::::::::::::::::::::::::::::::::::::::::::::::기본표현1. 인 사
-はじめ まして. 처음 뵙겠습니다.
하 지 메 마 시 떼
-おはよう ございます. 안녕하세요?(아침인사)
오 하 요- 고 자 이 마 스
-こんにちは. 안녕하세요?(낮인사)
곤 - 니 찌 와
-こんばんは. 안녕하세요?(저녁인사)
곰 - 방 - 와
-おやすみ なさい. 안녕히 주무세요.
오 야 스 미 나 사 이
-おげんき ですか. 건강하십니까?(잘 계십니까?)
오 겡 - 끼 데 스 까
-おかげさまで げんきです. 덕분에 건강합니다(잘 있습니다.)
오 까 게 사 마 데 겡 - 끼 데 스
-おひさしぶり ですね. 오랫만이군요.
오 히 사 시 부 리 데 스 네
-おかわり ありませんか. 별고 없으십니까?
오 까 와 리 아 리 마 셍- 까
-さようなら. 안녕(작별인사)
사 요 - 나 라
-また あいましょう. 또 만납시다.
마 따 아 이 마 쇼 -
-では また. 그럼, 또.
데 와 마 따
2. 소 개
-わたしは キムヨンスです. 저는 김영수입니다.
와 따 시 와 김 - 영 - 수 데 스
-わたしは キムヨンスと もうします. 저는 김영수라고 합니다.
와 따 시 와 김 - 영 - 수 또 모- 시 마 스
-わたしは がくせいです. 저는 학생입니다.
와 따 시 와 각-세- 데 스
-わたしは テニスが すきです. 저는 테니스를 좋아합니다.
와 따 시 와 테 니 스 가 스 끼 데 스
-わたしは ソウルに すんで います. 저는 서울에 살고 있습니다.
와 따 시 와 소 우 루 니 슨 - 데 이 마 스
-どうぞ よろしく. 잘 부탁합니다.
도 오 조 요 로 시 꾸
-あなたは どなたですか. 당신은 누구십니까?
아 나 따 와 도 나 따 데 스 까
<
생활속의 일본어
요이 땅! / ようい(用意) |
| ||||||||||||||||||||||||||||||||||||||||||||||||||||||||
用意는 마음을 먹다, 마음의 준비를 하다, 용의주도하다 등 우리말에도 쓰는 한자어인데, 경기 시작의 구호로 일본에서는 ようい,どん!이라고 한답니다. 우리말로 하면 준비 탕! 이 되겠지요. 이 말이 그대로 우리말에 남아 초등학교 때 달리기 등을 할 때 요이라고 구령을 한 후, 신호총을 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 |||||||||||||||||||||||||||||||||||||||||||||||||||||||||
기스 - きず / 傷 きず |
| ||||||||||||||||||||||||||||||||||||||||||||||||||||||||
기스는 우리말의 상처, 흠, 흠집, 결점, 티 등의 뜻을 지닌 말입니다. 물건같은 것을 옮길 때 "기스나지 않게 조심해서 옮겨"자동차 등이 긁혔을 때 "기스났다"는 말을 많이 쓰는데, 이젠 예쁜 우리말로 바꿔 써야겠죠? | |||||||||||||||||||||||||||||||||||||||||||||||||||||||||
무데뽀 - むてっぽう / 無鐵砲 |
| ||||||||||||||||||||||||||||||||||||||||||||||||||||||||
앞 뒤 생각없이 무턱대고 하는 모양, 분별없음, 경솔함 등을 뜻하는 표현인데, 방향과 시각을 겨냥하지 않고 맹목적으로 쏘아대는 발포행위에 비유한 말입니다. 우리말로는 무턱대고, 저돌적으로, 막무가내, 무모한 사람이라고 해야겠죠? | |||||||||||||||||||||||||||||||||||||||||||||||||||||||||
찌라시 - ちらし / 散(ち)らし |
| ||||||||||||||||||||||||||||||||||||||||||||||||||||||||
아침마다 신문에 가득히 끼여서 오는 광고 쪽지, 우편함에 가득 꽂혀 있는 선전지. 우리는 보통 이런 것들을 찌라시라고 하는데, 이는 일본어 ちらし(흩뜨림, 광고지)를 그대로 읽은 것이다. | |||||||||||||||||||||||||||||||||||||||||||||||||||||||||
사라 - さら / 皿(さら) |
| ||||||||||||||||||||||||||||||||||||||||||||||||||||||||
접시를 뜻하는 말인데, 접시에 담은 음식을 세는 단위로도 쓴다. 주로 음식점에서 주문할 때 '회 한사라'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정말 우리가 자주 쓰는 단어라는 생각이 드네요. 거의 생활화된 언어인만큼 더 신경써서 쓰지 않도록 해야겠죠. | |||||||||||||||||||||||||||||||||||||||||||||||||||||||||
복지리 대구지리? - ちり |
| ||||||||||||||||||||||||||||||||||||||||||||||||||||||||
일식집에 가면 대구지리, 복지리 등의 메뉴가 있다는데(실제 보지 못함^.^) 무슨 뜻일까요? 도미(たい), 대구(たら), 아귀?안강(あんこう), 복어(ふぐ) 등의 흰살생선(白身の魚)에 두부(とうふ)나 떫은 맛이 적은 채소를, 다시마(こんぶ)등으로 국물맛을 낸 뜨거운 물에 익혀, 등자즙(ポン酢), 간장(しょうゆ)등으로 만든 양념에 찍어 먹는 냄비요리(なべりょうり). | |||||||||||||||||||||||||||||||||||||||||||||||||||||||||
입빠이 - 一杯(いっぱい) |
| ||||||||||||||||||||||||||||||||||||||||||||||||||||||||
입빠이는 "가득히"라는 의미로 우리 생활에서 정말 자주 들을 수 있는 단어입니다. 술을 마시며 "잔에 입빠이 채워라", 주유소에 가서 "입빠이 넣어 주세요."라고 자주 말하죠. 일본어에서는 "가득"의 의미 외에도 여러 뜻으로 쓰이는데, "한 잔, 한 그릇"의 의미로 쓰일 때는 악센트가 앞에 있으며, "가득(히)"의 의미로 쓰일 때는 뒤에 강세가 옵니다. 이 외에도 "빠듯함, …껏(한도)" 등의 의미로도 쓰입니다. 여러분 "가득(히)"이라는 예쁜 우리말이 있다는 것 잊지 마세요. | |||||||||||||||||||||||||||||||||||||||||||||||||||||||||
노가다 - 土方(どかた) |
| ||||||||||||||||||||||||||||||||||||||||||||||||||||||||
공사판의 노동자, 막일꾼, 또는 막일을 하는 것을 우리는 보통 "노가다"라고 말합니다. "요즘 노가다 뛰면 하루 일당이 얼마야?" "할 일 없으면 노가다라도 뛰지뭐"라는 식으로 젊은 사람들도 꽤 많이 쓰는데, 원래 일본어로는 どかた(土方)입니다. 노동자들이 공사장 주변의 작은 토방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일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네요. 위의 예문에서도 나타나듯이 노가다라고 하면 왠지 자기가 하는 일을 비하시켜 말하는 자조적인 느낌이 드는데, 건전한 우리말인 노동자나 노동이라는 말로 고쳐 써야겠죠? | |||||||||||||||||||||||||||||||||||||||||||||||||||||||||
다마 - 玉(たま) |
| ||||||||||||||||||||||||||||||||||||||||||||||||||||||||
우리나라에서 다마라고 하면 보통 아이들이 갖고 노는 구슬, 기계부품에 들어가는 구슬, 전구, 당구공 등 여러 뜻으로 많이 쓰인다. 실제 일본어에서도 이 玉(たま)는 여러 의미가 있다. 그 중 자주 쓰이는 표현을 알아보자. | |||||||||||||||||||||||||||||||||||||||||||||||||||||||||
다꽝 - たくあん |
| ||||||||||||||||||||||||||||||||||||||||||||||||||||||||
"다꽝"이라는 말이 일본어라는 걸 모르는 분은 없을 것 같네요. たくあん漬(づ)け의 줄인 말로, 우리말로는 "단무지"たくあん은 단무지를 만든, 고구려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나라 澤庵(택암) 스님이름(일본의 "고승대덕전"이라는 책에 나와 있다고 함)을 일본식으로 읽은 것이라고 하네요. 앞으로 자장면 먹으러 가서는 꼭 "단무지 더 주세요"라고 말하세요.
|
'공부방 > 일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恋して オモナ(사랑해요 어머나) (0) | 2007.06.03 |
---|---|
히라가나 및 예제 단어를 마우스로 꾸-욱 (0) | 2007.02.05 |
[스크랩] 일본어 교육 사이트 (0) | 2007.01.06 |
일본어! 이렇게 외우면 된다! (0) | 2007.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