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꽃 |
식물명(별명) |
메꽃, (선화(旋花)) |
학,과명 |
Calystegia japonica, 메꽃과 |
생 약 명 |
구구앙(狗狗秧), 선화(旋花) |
설 명 |
♣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쌍떡잎식물. 여러해살이풀로서 땅 속의 백색 뿌리줄기에서 덩굴성 줄기가 나와 다른 것에 감겨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고, 긴 타원형 바소꼴이며, 잎밑이 귀 모양이다. 꽃은 6∼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줄기가 나와 자루 끝에 엷은 홍색의 큰 꽃이 핀다. 꽃받침은 5조각이고 녹색 꽃턱잎이 양면으로 싸며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이다.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보통 열매를 맺지 않는다. 뿌리줄기와 어린 잎은 식용한다. |
분포와 생육지 |
전국 각지의 들에 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
약 효 |
강장, 소화, 이뇨, 혈당강하. |
적응증 |
♣ 전초는 당뇨병과 고혈압을 다스리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신체가 허약하다던지 피로에 싸여있는 경우, 몸속의 나쁜 기운을 없애는 작용을 한다. ♣ 생리불순이나 대하증 같은 갖가지 부인병에도 좋은 효력이 있고, 기관지염이나 동맥경화에도 좋다. ♣ 뿌리를 말려 가루 내어 기름에 개어 신경통이나 관절염으로 통증이 있는 부위에 바르면 통증이 완화된다. |
특기사항 |
메꽃은 부인의 불감증이나 방광염, 요실금 등에 좋은 효험이 있고 남성의 정력감퇴, 음위, 조루, 당뇨병 등에 좋다. 소변과 대변을 잘 나가게 하고 부은 것을 내린다. 오래 먹으면 기운이 나고 살결이 고와지며 장수할 수 있게 된다. |
약용부위 |
전초 |
채취와 법제 |
가을(9~10월). |
약 성 |
약성은 따뜻하고, 맛은 달다. 뿌리는 약간 매운 맛이 나고 잎은 약간 쓴맛이 난다. |
사용법 |
전초 15 ~20g에 물 700ml를 넣고 2~3시간 달여서 식전 또는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
대증요법 |
♣ 메꽃 뿌리는 성기능을 높이고 콩팥 기능을 높이는 데에도 효과가 좋다. 남성의 음위증이나 양기부족, 여성의 불감증 등에는 메꽃을 뿌리째 뽑아서 말려 잘게 썰어서 하루 20-30그램에 물 1.8리터를 붓고 물이 반이 되게 달여서 여러 차례에 나누어 마시면 효력이 있다. ♣ 메꽃 뿌리는 혈압을 낮추고 당뇨병의 혈당치를 낮추는 효과도 있다. 뿌리를 쪄서 먹거나 날로 생즙을 내어 먹으면 좋다. ♣ 여름철 무더위에 시달려 몸이 나른하고 기운이 없을 때 메꽃 뿌리를 생즙을 내어 먹으면 곧 몸에 활력을 찾을 수 있게 된다. |
주의사항 |
|
기 타 |
메꽃에는 큰메꽃, 갯메꽃, 애기메꽃 등이 있는데, 갯메꽃에는 약간 독이 있어서 먹을 수 없고 다른 종류는 모두 먹을 수 있고 약으로 쓴다. |
조리법 |
천연비누를 만들 때 보조성분으로 쓴다. 여드름 피부에는 민들레 가루, 얼굴에 염증이 생겼을 때는 삼백초 가루, 뽀얀피부를 원할 때는 미백효과가 있는 메꽃 씨앗을 갈아서 넣어주면 좋다. |
사 진 |